PROJECTS
2024
2023
2022
2021
김녕 책을 띄운 별장
진해 벚나무 TMO 관광센터
진해문화살롱
해운대구 문화놀이터
충남 섬문화예술 플랫폼
함열 그린창업플랫폼
창우초 급식소 및 다목적 체육관
청목어르신복지센터
횡성 봉당이 있는 집
장안 다목적복합센터
Stara Zagora Puppet Theatre
춘천 노부부를 위한 작은집
오산 거대한 책계단이 있는 집
화성 펭귄집
원주 평상집
제주 애월봉봉 스테이
강릉 숲속의 집
역삼 띠띠쁼딩
대전 소형 중정이 있는 작은집
진해문화플랫폼 1926
부산 우연한 마주침이 있는 다가구
제주를 닮은 주택
위치 : 부산 기장군
대지면적 : 282m2 (85평)
건축면적 : 169m2 (51평)
바닥면적 : 395m2 (120평)
구조 : 철근콘크리트
Co-Work : 유타건축사사무소
Landscape : 그루작
Construction : (주)엔원종합건설
Status : Complete
Photo : 김명구
Residential
Co-housing
Mixed use
1. 법과 숫자에 의한 결정
건폐율 60%, 용적률150%, 일조권을 위한 높이제한, 주차대수 등 법적조건에 의해 바닥 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건물의 배치와 볼륨, 계단실의 위치가 정해진다.
2. 두개의 도로에 접한 대지
1층은 근린생활시설, 2~4층은 임대세대와 건축주의 주거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문객과 거주자 사이의 진입 동선 분리는 필수적이다. 대지의 남측은 8m의 차로가 접해있고 서측은 6m의 보행자전용도로가 접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진출입 분리가 가능하다.
3. 집으로 가는 길
지구단위계획에 의해 결정된 택지는 차를 중심으로 구획된다.대지 서측의 보행자 전용도로는 길이 약 300m로 유일하게 차를 이용하지 않고 안전하게 동네를 걸어 다닐 수 있는 길이다.
아이들이 등하교를 할때, 옆집에 놀러갈 때, 집을 나가고 돌아오는 여정이 비밀번호를 누르면 열리는 공용 현관문 하나로 끝나지 않기를 바라며 대문과 정원, 공용계단, 그리고 복도를 계획하였다.
보행로로 이어지는 대문 앞에는 이젠 집의 상징이 된 배롱나무 한 그루를 심었다. 여름마다 피우는 꽃을 이웃들과 함께 즐기기위해 나무를 가리지 않도록 담장을 대지 안으로 들여 세웠다. 대문을 열고 들어오면 잘 가꾼 정원의 산책로를 따라 계단을 통해 위로 올라가게 된다. 각 세대의 현관문으로 연결되는 계단과 복도는 지붕만 덮혀있는 반 외부 공간이다. 적절한 사생활 보호를 위해 외장재인 벽돌로 빛과 바람이 통하는 다공질의 스크린으로 계획하였다.
4. 안과 밖이 풍부하게 관계 맺는 일상
식물을 연구하며 키우는 첫째 딸을 위한 개인 테라스, 이웃들과 함께 스크린을 펼쳐놓고 영화를 볼수 있는 옥상 계단, 빨래를 널널수 있는 테라스, 이끼와 초류를 식재하는 정원 등 집안 곳곳에 쓰임과 크기가 다양한 외부공간을 배치하였다.
구조 - 콘크리트 양생 후 (Photo by 석준기)